연말정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부금, 의료비, 교육비 공제. 하지만 무작정 지출한다고 환급이 커지는 건 아닙니다. 각 항목의 한도와 조건을 정확히 알고 ‘전략적으로’ 지출해야 절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. 오늘은 이 세 가지 공제의 핵심 규칙과 실전 팁을 정리했습니다.
1. 기부금 – 공제율·한도·소득 구간을 활용하라
- 공제율: 1천만 원 이하 15%, 초과분 30% 공제. 정치자금 기부금은 10만 원까지 100% 공제.
- 전략: 소득세율이 높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면 절세 효과 극대화. 간소화 서비스 누락 대비해 기부금 영수증 직접 확보 필수.
2. 의료비 – ‘총급여 3% 문턱’ 넘기기
- 공제 한도: 일반 의료비 연 700만 원, 본인·65세 이상 부양가족·장애인 의료비는 한도 없음.
- 전략: 총급여 낮은 배우자에게 의료비 몰아주기. 간소화 누락 항목(안경·콘택트렌즈, 연 50만 원 한도) 직접 챙기기.
3. 교육비 – 지출 대상별 한도 확인
- 공제 한도: 취학 전 아동·초·중·고 1인당 300만 원, 대학생 1인당 900만 원. 본인 교육비는 한도 없음.
- 전략: 취학 전 아동 학원비·교복비 누락 주의. 한 명의 배우자가 몰아서 공제 신청.
결론 및 실행 가이드
환급을 극대화하려면 각 공제 항목별 ‘한도·조건·전략’을 미리 계산하고, 간소화 서비스에서 누락되는 영수증을 사전에 준비해야 합니다. 홈택스 공제 시뮬레이션으로 미리 계산해보면 불필요한 지출 없이 최적의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자주 묻는 질문(Q&A)
Q1. 기부금은 언제 몰아주는 게 유리한가요?
A. 맞벌이 부부 중 소득세율이 높은 배우자에게 몰아줄 때 절세 효과가 큽니다.
Q2. 의료비 공제는 모든 의료비가 포함되나요?
A. 치료·진료 목적만 해당되며, 미용·건강보조 목적은 제외됩니다.
Q3. 해외에서 쓴 의료비도 공제되나요?
A. 아니요. 국내 의료기관 지출만 해당됩니다.
Q4. 대학생 자녀 교육비는 부부가 나눠서 공제할 수 있나요?
A.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한 명의 배우자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Q5. 교육비 한도를 초과하면 다음 해로 이월되나요?
A. 아닙니다. 한도를 초과한 금액은 공제되지 않으므로 지출 시기 조절이 필요합니다.
Tags:
year-end settlement